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모체태아의학회

지난호보기

메뉴열기

제 29차 학술대회 수상자

최우수상

제대혈관을 이용한 이식혈관 대체제의 개발 정영미 (고대의대)

목적 : 신생아 심장기형 환자를 수술할 때 필요한 인조혈관의 수급이 어렵거나 성인에서도 특정 혈관을 대체할 수 있는 다른 혈관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럴 경우 본인의 혈관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지만 정맥류가 있거나 역류가 심하거나 직경이 맞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못할 수 있고 다른 동물의 혈관을 사용할 때는 이식 후 거부의 위험을 감수해야 합니다. 또한 많은 인조혈관들이 개발되었지만 이들은 혈전 형성의 위험이 높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혈관이며, 혈전 생성의 위험도도 낮은 제대혈관을 혈관의 대체제로 사용하고자 작은 직경의 이식 혈관을 만들어 그 기능을 평가해보고자 하였습니다.

결과 : 다른 개체에 이식하기 위해 적절한 scaffold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탈세포화 시키기 위해 동결과 해동을 반복한 후 다양한 탈세포화 약물을 넣은 기구에 제대혈관을 배치하고 약물을 교체하며 7일간 흘려주어 탈세포화 된 혈관을 만들어 직경이 비슷한 토끼의 복부대동맥 (abdominal aorta)에 이식하여 혈관으로서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임상적 의미 : 성인의 혈관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 직경이 작으며 길이가 길고 다른 가지를 생성하지 않는 제대 혈관을 동물 실험에 적용하였을 때 실제 임상에서도 좋은 혈관의 대체제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향후 제대혈관을 이용하여 작은 직경의 혈관이 필요한 다양한 의료 상황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우수상

The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smoking before pregnancy and perinatal outcomes and the long-term prognosis of offspring 성지희 (성균관의대)

목적 : 임신 중 흡연은 저출생체중아, 태아발육지연, 선천성 기형, 조산, 유산 그리고 ADHD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금연을 할 경우 임신 중 흡연을 하는 경우에 비해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다는 보고가 많이 있으나, 일부 연구에서는 임신 전 또는 임신초기에 흡연을 그만두었어도 비흡연자에 비해서 선천성 기형이나 신생아중환자실 입원 비율이 높다는 것을 보고한 바 있었습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임신 전에 흡연을 했던 여성에서, 그 흡연의 양에 따라 신생아의 단기 및 장기 예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보고자 하였습니다.

결과 : 국민건강보험 데이터를 이용한 연구로 2005년부터 2019년까지 생존아를 분만한 산모 및 그 신생아 중에서 흡연 습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인 암의 과거력이 있는 자를 제외하고, 건강검진을 시행했고 첫번째 생존아 분만을 한 1,398,539 명을 최종 분석하였습니다. 전체 중 흡연자의 비율은 8.5%로 우리나라 여성 평균 흡연율과 거의 유사했고, 과거흡연자는 3.3%, 20PY 미만 5.0%, 20PY 이상은 0.2% 의 비율을 보였습니다. 임신 전 흡연량이 많은 군 (20PY 이상)에서 비흡연군에 비해 주요 선천 기형의 위험이 높았으며(OR 1.25), 단기 신생아 예후 중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원율 (OR 1.28), 호흡부전증후군 (OR 1.37) 및 뇌실내 출혈(OR 3.11)이 흡연량이 많은 군에서 비흡연군에 비해 그 위험이 높았습니다. 장기 예후로 자폐스펙트럼 (HR 1.22),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HR 1.54), 인지발달지연 (HR 1.82), 뇌전증적 또는 열성 발작 (HR 1.23), 틱 장애 (HR 1.11) 가 비흡연군에 비해 흡연군에서 위험이 높았습니다. 특히,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인지 발달지연, 뇌전증적 또는 열성 발작은 흡연량이 증가함에 따라 그 위험도가 증가하였습니다. 장,단기 예후는 산모의 나이, Charlson's index, 임신중 고혈압성 질환, 당뇨병, 제왕절개, 신생아 성별, 음주, 운동, 수입, 거주지역을 보정한 결과입니다.

임상적 의미 : 본 연구를 통해 임신 전 흡연도 신생아의 단기 및 장기 예후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본 연구는 임신 전 금연의 필요성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될 수 있으며, 청소년 대상 홍보 및 교육자료의 근거로 사용될 수 있겠습니다.

우수상

Maternal diet during pregnancy affects the gut microbiome and short-chain fatty acids in 16-week-old male offspring 김수민 (이대의대)

목적 : 태아프로그래밍 가설에 의하면 임신 시기동안 모체가 영양부족 또는 영양과잉과 같은 부적절한 환경에 노출되었을 때, 이후 태어난 자손이 비만, 당뇨, 고혈압 등 대사질환에 더욱 높은 위험성을 나타냅니다. 또한 임신 중 모체의 식이는 자손의 장 내 미생물 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장 내 미생물의 대사과정에서 생성되는 단쇄지방산 (Short Chain Fatty Acids, SCFAs)은 G-Protein Coupled Receptors (GPCRs)를 통해 신호를 전달하여 에너지 대사 및 장 내 환경을 조절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태아프로그래밍 동물모델을 구축하여 임신 중 모체의 식이에 따른 자손의 장 내 미생물 군집 및 단쇄 지방산의 변화와 성별에 따른 대사질환 관련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습니다.

결과 : 태아프로그래밍 동물 모델은 임신 시기 식단에 따라 정상식이를 급여 받은 Control 군, 제한된 식이를 급여 받은 FR 군, 고지방식이를 급여 받은 HF 군으로 나누었고, 수유기동안은 모두 정상식이를 급여하였습니다. 또한, OB 군은 임신 및 수유기동안 모두 고지방식이를 제공받았으며, 출생 후 Control 군, FR 군, HF 군의 자손은 정상식이를 급여하였고, OB 군의 자손은 고지방식이를 제공하였습니다. OB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서 체중 차이는 없었으나 16주령 수컷 자손의 경우 출생 체중 대비 증체량은 FR, HF, OB 군 모두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암컷의 경우 FR과 OB 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습니다. 또한 혈액 내 Triglyceride의 수치는 FR 및 OB 군의 수컷과 암컷 자손에서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습니다. 16주령 수컷 자손의 분변샘플에서 단쇄지방산 중 Butyrate를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진 Lachnospiraceae에 속하는 일부 균주의 상대적 풍부도가 Control 군에서만 유의하게 높았으며, 혈액 내 Butyrate의 수치도 Control 군에서만 높은 수치를 보였습니다. 단쇄지방산 수용체와 관련하여 GPR41의 단백질 발현정도는 FR 및 OB그룹에서 낮아졌으며, 형태학적 분석 결과 간 조직 내의 지방생성 및 지방조직의 지방세포가 비대해지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임신 중 모체의 식단이 자손의 장 내 미생물 구성과 대사산물에 영향을 미쳐 이후 자손이 성인이 되었을 때 대사질환에 더 취약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임상적 의미 : 임신 중 모체의 식이가 자손의 장 내 미생물 구성 및 대사산물에 영향을 주어 대사질환에 더욱 높은 위험성을 나타냈으며, 결론적으로 임신 중 모체의 건강한 식단 관리를 통해 자손의 장 내 환경을 조절한다면 비만을 포함한 여러가지 대사질환을 미리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Copyright by 대한모체태아의학회 All rights reserved.

서울특별시 양천구 안양천로 1071 이대목동병원 9층 산부인과 의국